하지만 취재에 대한 확신이 있었기 때문에 수정 요청을 받아들일 이유가 없었습니다. 취재 내용은 법원행정처가 작성한 대외비 문건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연속 보도를 하는 동안 아쉽고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던 것은 사법부가 적극적인 해결 의지보다는 사태를 축소하거나 숨기려는데 급급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점입니다.
다행인 점은 사법부가 첫 보도 석 달 만에 대국민 사과를 통해 해킹 사실을 인정하고 적극적인 대책 마련과 대응을 약속했습니다. 국가정보원 등 외부 기관과 합동으로 원인 분석에도 나섰습니다. 늦은 감은 있지만, 그나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사법부가 이번 해킹 사고 사례를 외부 기관에도 널리 전파했으면 합니다. 어떤 이들은 사법부가 헌법상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기관의 특성상 내밀한 정보를 외부에 공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헌법상 독립기관이라는 이유로 함구해서야 될까요? 해킹 사태와 관련한 정보 공개와 공유는 다른 공공기관이나 민간기구에 대한 일종의 '경보'로도 중요한 가치를 가집니다.
뼈 아픈 경험이지만, 헛되이 흘려보내서는 안 될 일입니다. 취재에 도움을 주신 모든 분께 마음 깊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