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CBS 유튜브 리포트
Summary

박수정 기획조정실 미디어전략부

지난 5월 22일 CBS G스튜디오에서 열린 <2024 CBS 유튜브 리포트> 설명회에서는 구글코리아 Creator & Artist Development팀의 김희정 전략파트너 매니저님의 ‘유튜브 알고리즘의 기본원리와 데이터 지표보는 법’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구글코리아에서 직접 준비해주신 세션인 만큼 제작진들이 유튜브를 운영하며 가졌던 궁금증을 명쾌하고 또 자세하게 풀어주는 시간이었는데요. 실시간으로 참여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 세션 내용을 요약했습니다. 또한, 당일 세션의 발표자료도 함께 첨부해드리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의 기본원리와
데이터 지표보는 법


1. 동영상과 채널의 실적을 이해하기

- 데이터 수치 검토하기
시청시간, 조회수, 구독자수, 수익데이터, 도달범위, 참여도, 시청자층
- 시청자층 통계 검토하기

내 시청자가 시청하는 다른 채널, 내 시청자가 시청한 다른 동영상 등
- 트래픽 소스 검토하기

시청자가 내 동영상을 찾는 위치 파악하기(추천동영상/검색/홈 등)

- 동영상이 노출되는 위치에 따라 영상 패키징 전략을 바꿀 수 있습니다. (‘검색’에서 노출된다면 설명란을 더 최적화해 자세히 적고, ‘홈’에서 노출된다면 썸네일을 최적화합니다)

2. 유튜브 알고리즘의 기본 원리

    = “영상”중심이 아닌 “시청자” 중심

Creator & Artist Development팀 김희정 전략파트너 매니저

- 알고리즘의 목표는 시청자가 보고 싶은 영상을 찾게 돕고 시청자의 장기적인 만족도를 최대한 높이는 것입니다. 시청시간도 중요하지만 영상을 통한 시청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유의해야합니다. (이는 좋아요, 댓글, 구독 등을 지표를 의미합니다)


- Youtube의 목표는 장기적으로 시청자의 만족도를 개선하는 것입니다.


- 알고리즘이 영상을 추천하기 위해 학습하는 신호는 매일 8백억 개가 넘는 시청자 신호입니다. (시청한 동영상, 시청하지 않은 동영상, 시청지속시간, 좋아요, 시청시기, 시청위치 등…)

- Youtube 추천 시스템(알고리즘)은 동영상을 기준으로 시청자를 찾기보다는, 시청자를 기준으로 동영상을 찾습니다. 따라서 제작해 놓은 영상을 누가 시청할지를 고민하는 것보다는 나의 채널에 모인 시청자가 어떤 유형의 사람인지 파악하는 것이 유튜브 운영 에 있어서 더 적절한 전략입니다. (시청자 유형을 파악하는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 시청자에게 초점을 맞추면 알고리즘이 따라옵니다. 해당 세션에서 가장 강조했던 메시지입니다. 100명의 사람이 있다면, 100개의 다른 형태로 영상이 추천되고, 광고도 마찬가지로 개인에게 맞추어 노출됩니다.


- 시청자의 패턴 외에도 계절성 또한 알고리즘 추천에 영향을 줍니다. (ex. 방학 시즌에는 게임영상을, 연말에는 캐롤 영상을 추천합니다.)

3. 알고리즘 관련 결론 정리

- 알고리즘은 시청자를 따라갑니다.
- Youtube는 장기적으로 시청자들이 만족스러운 시청을 할 수 있는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끊임없이 실험해 보세요.
- 계절성을 고려하세요.

4. 알고리즘 FAQ

Q : 동영상을 일부 공개로 업로드하고 나중에 공개로 전환하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요?
A :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동영상이 게시된 이후의 시청자의 반응입니다.

Q : 이른 아침과 늦은 저녁 중 언제 동영상을 게시하는 것이 더 좋은가요?
A : 게시 시간은 동영상의 장기적인 실적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Youtube 추천 시스템은 동영상 업로드 시기에 상관없이 시청자가 Youtube에 방문할 때 적합한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Q : 태그가 중요한가요?
A : 중요하지 않습니다. 태그는 주로 맞춤법 실수(ex. Youtube를 Utube로 입력하는 등)를 수정하도록 돕는 데 사용됩니다.

5. 광고 Q&A

Q : Youtube는 내 동영상에 미드롤 광고를 추가하는 시점을 어떻게 결정하나요?
A : 자동 게재를 선택하든 동영상에 수동으로 미드롤을 추가하든, Youtube시스템은 개별 시청자에게 광고를 표시하기에 가장 좋은 타이밍을 예측해 크리에이터 수익 창출과 시청자 경험 간의 균형을 맞춥니다.
광고 형식을 사용 설정해도 매번 광고가 게재되는 것이 아닙니다. Youtube는 시청자가 계속해서 동영상을 다시 시청할 수 있도록 적시에 적절한 사용자에게 적절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Q : 브랜디드 콘텐츠에는 미드롤 광고를 추가하고 싶지 않습니다. 광고를 중지할 수 있나요?
A : 네. 특정 동영상이 브랜드 협업으로 제작되는 경우 언제든 동영상 수준에서 광고를 선택해제해 브랜드 협찬 또는 스폰서십을 준수할 수 있습니다.

Q. 광고 수익은 어떻게 창출되나요?
A : 광고 수익은 사용자, 조회수, 광고주 사이에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창출됩니다.

CBS 유튜브 현황


두번째 세션에서는 제가 CBS 유튜브 채널의 전반적인 운영현황을 공유하고 CBS 유튜브가 가진 특성을 몇가지로 정리해 공유했습니다.

1. CBS 유튜브 운영 현황

- CBS에서 운영하고 있는 유튜브 채널수는 70여개로, 전체 구독자수는 (5월말 기준) 590만 명입니다.


- 운영 주체는 TV제작국 28%, 제작국 25%, 지역본부 23%, 보도국 14%입니다.


- CBS유튜브는 2020년부터 지난 4년 간 구독자수, 조회수, 시청시간, 수익 면에서 크게 성장했습니다. (구체적인 수치는 첨부한 파일 참고)

2. 데이터로 보는 CBS 유튜브 인사이트

- 가성비

전체 채널 중 기존 프로그램을 활용해 콘텐츠화한 경우가 65%로 가성비 있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 성장

조회수, 구독자수, 수익 등 다양한 측면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 3장르3색

시사/선교/교양 채널 별 독자 풀이 서로 겹치지 않으며 채널의 강점과 약점이 뚜렷합니다.


- 장기전략 및 투자 부재

채널 초기 단계(구독자 1만~5만)에서 제작을 멈추고 비활성화된 채널이 전체의 절반 이상으로, 채널을 개설만 해놓고 큰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성장성이 있음에도 방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2024

CBS 유튜브 리포트 Summary

박수정 기획조정실 미디어전략부

지난 5월 22일 CBS G스튜디오에서 열린 <2024 CBS 유튜브 리포트> 설명회에서는 구글코리아 Creator & Artist Development팀의 김희정 전략파트너 매니저님의 ‘유튜브 알고리즘의 기본원리와 데이터 지표보는 법’ 세션이 진행되었습니다. 구글코리아에서 직접 준비해주신 세션인 만큼 제작진들이 유튜브를 운영하며 가졌던 궁금증을 명쾌하고 또 자세하게 풀어주는 시간이었는데요. 실시간으로 참여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 세션 내용을 요약했습니다. 또한, 당일 세션의 발표자료도 함께 첨부해드리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유튜브 알고리즘의 기본원리와
데이터 지표보는 법


1. 동영상과 채널의 실적을 이해하기

- 데이터 수치 검토하기 : 시청시간, 조회수, 구독자수, 수익데이터, 도달범위, 참여도, 시청자층
- 시청자층 통계 검토하기 : 내 시청자가 시청하는 다른 채널, 내 시청자가 시청한 다른 동영상 등
- 트래픽 소스 검토하기 : 시청자가 내 동영상을 찾는 위치 파악하기(추천동영상/검색/홈 등)

- 동영상이 노출되는 위치에 따라 영상 패키징 전략을 바꿀 수 있습니다. (‘검색’에서 노출된다면 설명란을 더 최적화해 자세히 적고, ‘홈’에서 노출된다면 썸네일을 최적화합니다)

2. 유튜브 알고리즘의 기본 원리
     = “영상”중심이 아닌 “시청자” 중심

김희정 전략파트너 매니저/Google Korea Creator & Artist Development

- 알고리즘의 목표는 시청자가 보고 싶은 영상을 찾게 돕고 시청자의 장기적인 만족도를 최대한 높이는 것입니다. 시청시간도 중요하지만 영상을 통한 시청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유의해야합니다. (이는 좋아요, 댓글, 구독 등을 지표를 의미합니다)
- Youtube의 목표는 장기적으로 시청자의 만족도를 개선하는 것입니다.
- 알고리즘이 영상을 추천하기 위해 학습하는 신호는 매일 8백억 개가 넘는 시청자 신호입니다. (시청한 동영상, 시청하지 않은 동영상, 시청지속시간, 좋아요, 시청시기, 시청위치 등…)

- Youtube 추천 시스템(알고리즘)은 동영상을 기준으로 시청자를 찾기보다는, 시청자를 기준으로 동영상을 찾습니다. 따라서 제작해 놓은 영상을 누가 시청할지를 고민하는 것보다는 나의 채널에 모인 시청자가 어떤 유형의 사람인지 파악하는 것이 유튜브 운영 에 있어서 더 적절한 전략입니다. (시청자 유형을 파악하는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 시청자에게 초점을 맞추면 알고리즘이 따라옵니다. 해당 세션에서 가장 강조했던 메시지입니다. 100명의 사람이 있다면, 100개의 다른 형태로 영상이 추천되고, 광고도 마찬가지로 개인에게 맞추어 노출됩니다.
- 시청자의 패턴 외에도 계절성 또한 알고리즘 추천에 영향을 줍니다. (ex. 방학 시즌에는 게임영상을, 연말에는 캐롤 영상을 추천합니다.)

3. 알고리즘 관련 결론 정리

- 알고리즘은 시청자를 따라갑니다.
- Youtube는 장기적으로 시청자들이 만족스러운 시청을 할 수 있는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끊임없이 실험해 보세요.
- 계절성을 고려하세요.

4. 알고리즘 FAQ

Q : 동영상을 일부 공개로 업로드하고 나중에 공개로 전환하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요?
A :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동영상이 게시된 이후의 시청자의 반응입니다.

Q : 이른 아침과 늦은 저녁 중 언제 동영상을 게시하는 것이 더 좋은가요?
A : 게시 시간은 동영상의 장기적인 실적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Youtube 추천 시스템은 동영상 업로드 시기에 상관없이 시청자가 Youtube에 방문할 때 적합한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Q : 태그가 중요한가요?
A : 중요하지 않습니다. 태그는 주로 맞춤법 실수(ex. Youtube를 Utube로 입력하는 등)를 수정하도록 돕는 데 사용됩니다.

5. 광고 Q&A

Q : Youtube는 내 동영상에 미드롤 광고를 추가하는 시점을 어떻게 결정하나요?
A : 자동 게재를 선택하든 동영상에 수동으로 미드롤을 추가하든, Youtube시스템은 개별 시청자에게 광고를 표시하기에 가장 좋은 타이밍을 예측해 크리에이터 수익 창출과 시청자 경험 간의 균형을 맞춥니다.
광고 형식을 사용 설정해도 매번 광고가 게재되는 것이 아닙니다. Youtube는 시청자가 계속해서 동영상을 다시 시청할 수 있도록 적시에 적절한 사용자에게 적절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Q : 브랜디드 콘텐츠에는 미드롤 광고를 추가하고 싶지 않습니다. 광고를 중지할 수 있나요?
A : 네. 특정 동영상이 브랜드 협업으로 제작되는 경우 언제든 동영상 수준에서 광고를 선택해제해 브랜드 협찬 또는 스폰서십을 준수할 수 있습니다.

Q. 광고 수익은 어떻게 창출되나요?
A : 광고 수익은 사용자, 조회수, 광고주 사이에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창출됩니다.

CBS유튜브현황


두번째 세션에서는 제가 CBS 유튜브 채널의 전반적인 운영현황을 공유하고 CBS 유튜브가 가진 특성을 몇가지로 정리해 공유했습니다.

1. CBS 유튜브 운영 현황

- CBS에서 운영하고 있는 유튜브 채널수는 70여개로, 전체 구독자수는 (5월말 기준) 590만 명입니다.
- 운영 주체는 TV제작국 28%, 제작국 25%, 지역본부 23%, 보도국 14%입니다.
- CBS유튜브는 2020년부터 지난 4년 간 구독자수, 조회수, 시청시간, 수익 면에서 크게 성장했습니다. (구체적인 수치는 첨부한 파일 참고)

2. 데이터로 보는 CBS 유튜브 인사이트

- 가성비 : 전체 채널 중 기존 프로그램을 활용해 콘텐츠화한 경우가 65%로 가성비 있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 성장 : 조회수, 구독자수, 수익 등 다양한 측면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 3장르3색 : 시사/선교/교양 채널 별 독자 풀이 서로 겹치지 않으며 채널의 강점과 약점이 뚜렷합니다.
- 장기전략 및 투자 부재 : 채널 초기 단계(구독자 1만~5만)에서 제작을 멈추고 비활성화된 채널이 전체의 절반 이상으로, 채널을 개설만 해놓고 큰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 성장성이 있음에도 방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