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올 대선을
준비하며

유튜브 워크숍
주요 인사이트 정리

장혜원 기획조정실 미디어전략부

지난 4월 24일, 구글코리아는 유튜브 파트너 언론사를 대상으로 대선 대비 유튜브 워크숍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플랫폼의 최신 정책 변화, AI 기술 적용 사례, 콘텐츠 전략, 수익화 방안 등 실무에 도움이 될 다양한 주제가 폭넓게 다뤄졌습니다. 이제 유튜브는 대부분의 방송사들이 핵심 채널로 활용하는 만큼, 대선 방송에서도 유튜브의 활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워크숍에서는 선거 주기를 여러 단계로 나누고, 각 시기별로 적절한 콘텐츠 제작 방향과 함께, 구글이 제공하는 다양한 제작 도구의 활용법도 구체적으로 안내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해외에서 실험적으로 시도된 콘텐츠 포맷을 차용해보는 것도 주목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함께 참석한 제작자들은 현실적인 제약과 사전 준비 요소가 많아, 적용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주었습니다. 콘텐츠 포맷 자체를 무겁게 다루기보다는, 오히려 작고 단순한 시도부터 시작해보는 것이 더 현실적일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의 데이터 GIF 메이커처럼 비교적 간단한 도구를 활용해 데이터를 시각화한 보조자료를 제작하는 작업은 손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이미 제공되고 있는 썸네일 A/B 테스트 기능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대선 기간 동안 콘텐츠의 노출률과 클릭률을 높이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에 워크숍의 핵심 내용을 정리해 공유드립니다. 업무에 참고가 되시길 바라며, 이 내용이 실질적인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1. 유튜브 선거 관련 주요 현황


• 유튜브 이용자 데이터

- 매일 로그인하여 라이브만 시청하는 이용자: 4억 명

- 쇼츠(Shorts) 일일 조회수: 700억 회

- TV 스크린에서 유튜브 소비 증가:

매일 10억 시간 이상 시청 (한국도 빠르게 증가)


• 선거와 유튜브

- 작년 세계 선거 참여 인구: 전 세계 인구의 약 50%

- 공신력 있는 뉴스 콘텐츠 월평균 조회수: 440억 회


• 유튜브의 선거 관련 운영 원칙

1. 삭제(Enforce)

- 정책을 위반한 선거 관련 콘텐츠를 신속히 삭제

2. 우선노출(Raise Up)

- 선거 정보를 포함한 공신력 있는 출처(선거관리위원회 등)의 콘텐츠를 우선 노출

3. 확산방지(Reduce)

- 잘못된 선거 정보 및 허위 주장 확산을 차단

4. 기여보상(Reward)

- 뉴스 게시자, 정치 크리에이터, 캠페인 관계자의 기여를 인정하고 보상


• 법 위반 콘텐츠 대응

- 한국에서는 방심위, 방통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과 협력하여 법 위반 콘텐츠를 차단하고 있음


• 구글 투명성 보고서 (2024년 4분기)

- 삭제된 채널 수: 480만 개

- 삭제된 영상 수: 950만 건

- 삭제된 영상의 80%는 조회수 10회 이하의 콘텐츠

2. 선거 콘텐츠 전략 및 시청 트렌드


2.1 뉴스 소비 트렌드 변화

- 멀티포맷 소비 증가 : 숏츠, 라이브, VOD, 팟캐스트 등 다양한 포맷을 넘나듦

- 참여형 콘텐츠 수요 확대 : 라이브 채팅, 토론, 실시간 Q&A 등을 통한 유권자와의 상호작용

- 한국 상황 : 2022년 대선부터 쇼츠, 라이브스트리밍, 팟캐스트 활용 익숙한 상황. 롱폼 소비 증가


2.2 선거 주기별 콘텐츠 전략

(1) 선거 전

-후보 소개 및 선거 시스템 설명 콘텐츠 제작

-예시:

◦NYT ‘트럼프 4년 요약’ 영상

◦Wired ‘카말라 해리스가 검색 질문에 답하다’

(2) 선거 캠페인 기간

- 유권자 토론 영상 제작 (1명 vs 20명, 1명 vs 25명 등 다양한 포맷)

- 해외 사례:

◦독일 ARD, Tagesschau: 정치인과 유권자 직접 토론 콘텐츠

https://www.youtube.com/watch?v=oZPTLFBVO_4

◦미국 Jubilee: 민주당 지지자 vs 트럼프 지지자 대화

https://www.youtube.com/watch?v=YfxOZViD_DI

(3) 선거일

-실시간 개표 방송, 캠프 현장 중계, 현장 분위기 전달

- 사례:

◦MSNBC ‘Kornacki Cam’ 현장 라이브
https://www.youtube.com/watch?v=LIV9HM5Yj80

◦AP 라이브 개표 방송 (4분할 화면 구성)

https://www.youtube.com/watch?v=RMprlMfsHAU

(4) 선거 이후

-결과 분석, 유권자 반응 정리

-크리에이터와 전통 미디어 협업 사례 (ex. MSNBC x BTC)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OMpnzRkbFsgvaNI_bjGsp8-K-NnEYHxF

3. 제작 및 운영 팁


- 멀티 포맷 운영: 숏츠, 롱폼 영상, 팟캐스트 병행

- 거실용 콘텐츠 강화: TV 시청 비중 2배 증가 → 풀 에피소드, 4K 품질로 업로드 권장. 챕터 기능 활용도 좋음.

- AI 활용 편집

◦ TV아사히: 가로 영상을 자동 세로 변환 툴 사용

◦ EBS: 롱폼 영상을 기반으로 쇼츠 편집 자동화 툴 활용

- 팟캐스트 강화

◦ 긴 호흡의 논평과 심층 대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 증가

◦ 참여형 커뮤니티 기반 마련 가능

4. 구글 지원 도구 소개


(1) 구글 트렌드

https://trends.google.com/trends/

- 후보별·이슈별 검색량 비교, 지역별 관심도 분석

- 제목, 썸네일, 기사 기획에 활용 

예)
시사인 :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Amp.html?idxno=233917

스브스 : https://www.youtube.com/watch?v=MygvJYiGSus\
AP : https://apnews.com/projects/election-results-2024/google-trends/#

(2) 데이터 GIF 메이커

https://datagifmaker.withgoogle.com/

- 득표율, 지지율 등 선거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간편 제작

(3) NotebookLM

https://notebooklm.google/

- 취재자료 업로드 후 AI로 요약/분석/콘텐츠 생성 가능

- 심층 취재와 팟캐스트 콘텐츠 제작 지원

5. 선거기간 수익화 전략


- 라이브 미드롤(중간) 광고 최적화

◦ 시청지속시간이 증가할수록 수익화 기회 확대

◦ 라이브 중 즉시 광고 삽입 가능

◦ TV처럼 자연스럽게 삽입되는 DAI(Dynamic Ad Insertion) 방식 활용

- 미드롤 광고 성과 사례

◦ 미드롤 광고 개수 확대 시 수익 131% 증가

◦ 광고 게재 설정을 자동/수동을 적절히 섞는 ‘균형’으로 변경 시 수익 48% 증가

- 추가 수익화 기능

◦ 수퍼땡스, 채널 멤버십 등을 통한 팬 기반 수익 증대

6. 주요 유의사항


- 썸네일 A/B 테스트 기능 적극적 활용 요청

- 옐로아이콘(광고 제한 표시) 어필 절차 개선

- 3분 쇼츠 제작 가능(기존 쇼츠와 동일 수익화)

- 저작권 문제 일부 개선 : 대체 음원 자동 추천 기능

-저작권 관리 주의사항

◦ 방송3사 출구조사 발표시간별 사용 가능 여부 확인

◦ 외부 언론 콘텐츠 인용 시 반드시 사전 허가

◦ 외부 게스트 자료 사용 시 저작권 해결 여부 확인

최종 요약


‘멀티포맷 + 참여형 콘텐츠 전략’을 중심으로 AI 편집/데이터 도구 활용으로 효율을 강화하고, 수익화 최적화, 정책 준수 및 저작권 관리에 특별히 유의해야 합니다.

다가올 대선을 준비하며

유튜브 워크숍 주요 인사이트 정리

장혜원 기획조정실 미디어전략부

지난 4월 24일, 구글코리아는 유튜브 파트너 언론사를 대상으로 대선 대비 유튜브 워크숍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플랫폼의 최신 정책 변화, AI 기술 적용 사례, 콘텐츠 전략, 수익화 방안 등 실무에 도움이 될 다양한 주제가 폭넓게 다뤄졌습니다. 이제 유튜브는 대부분의 방송사들이 핵심 채널로 활용하는 만큼, 대선 방송에서도 유튜브의 활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워크숍에서는 선거 주기를 여러 단계로 나누고, 각 시기별로 적절한 콘텐츠 제작 방향과 함께, 구글이 제공하는 다양한 제작 도구의 활용법도 구체적으로 안내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해외에서 실험적으로 시도된 콘텐츠 포맷을 차용해보는 것도 주목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함께 참석한 제작자들은 현실적인 제약과 사전 준비 요소가 많아, 적용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을 주었습니다. 콘텐츠 포맷 자체를 무겁게 다루기보다는, 오히려 작고 단순한 시도부터 시작해보는 것이 더 현실적일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구글의 데이터 GIF 메이커처럼 비교적 간단한 도구를 활용해 데이터를 시각화한 보조자료를 제작하는 작업은 손쉽게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이미 제공되고 있는 썸네일 A/B 테스트 기능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대선 기간 동안 콘텐츠의 노출률과 클릭률을 높이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에 워크숍의 핵심 내용을 정리해 공유드립니다. 업무에 참고가 되시길 바라며, 이 내용이 실질적인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1. 유튜브 선거 관련 주요 현황


  • 유튜브 이용자 데이터

    • 매일 로그인하여 라이브만 시청하는 이용자: 4억 명

    • 쇼츠(Shorts) 일일 조회수: 700억 회

    • TV 스크린에서 유튜브 소비 증가:

      매일 10억 시간 이상 시청 (한국도 빠르게 증가)

  • 선거와 유튜브

    • 작년 세계 선거 참여 인구: 전 세계 인구의 약 50%
    • 공신력 있는 뉴스 콘텐츠 월평균 조회수: 440억 회
  • 유튜브의 선거 관련 운영 원칙

    1. 삭제(Enforce)
      • 정책을 위반한 선거 관련 콘텐츠를 신속히 삭제
    2. 우선노출(Raise Up)
      • 선거 정보를 포함한 공신력 있는 출처(선거관리위원회 등)의 콘텐츠를 우선 노출
    3. 확산방지(Reduce)
      • 잘못된 선거 정보 및 허위 주장 확산을 차단
    4. 기여보상(Reward)
      • 뉴스 게시자, 정치 크리에이터, 캠페인 관계자의 기여를 인정하고 보상
  • 법 위반 콘텐츠 대응

    • 한국에서는 방심위, 방통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과 협력하여 법 위반 콘텐츠를 차단하고 있음
  • 구글 투명성 보고서 (2024년 4분기)

    • 삭제된 채널 수: 480만 개
    • 삭제된 영상 수: 950만 건
    • 삭제된 영상의 80%는 조회수 10회 이하의 콘텐츠

2. 선거 콘텐츠 전략 및 시청 트렌드


2.1 뉴스 소비 트렌드 변화

  • 멀티포맷 소비 증가 : 숏츠, 라이브, VOD, 팟캐스트 등 다양한 포맷을 넘나듦
  • 참여형 콘텐츠 수요 확대 : 라이브 채팅, 토론, 실시간 Q&A 등을 통한 유권자와의 상호작용
  • 한국 상황 : 2022년 대선부터 쇼츠, 라이브스트리밍, 팟캐스트 활용 익숙한 상황. 롱폼 소비 증가

2.2 선거 주기별 콘텐츠 전략

(1) 선거 전

  • 후보 소개 및 선거 시스템 설명 콘텐츠 제작
  • 예시
    ◦ NYT ‘트럼프 4년 요약’ 영상

          ◦ Wired ‘카말라 해리스가 검색 질문에 답하다’

(2) 선거 캠페인 기간

(3) 선거일

(4) 선거 이후

3. 제작 및 운영 팁


  • 멀티 포맷 운영: 숏츠, 롱폼 영상, 팟캐스트 병행
  • 거실용 콘텐츠 강화: TV 시청 비중 2배 증가 → 풀 에피소드, 4K 품질로 업로드 권장. 챕터 기능 활용도 좋음.
  • AI 활용 편집
    • TV아사히: 가로 영상을 자동 세로 변환 툴 사용
    • EBS: 롱폼 영상을 기반으로 쇼츠 편집 자동화 툴 활용
  • 팟캐스트 강화
    • 긴 호흡의 논평과 심층 대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 증가
    • 참여형 커뮤니티 기반 마련 가능

4. 구글 지원 도구 소개


(1) 구글 트렌드

https://trends.google.com/trends/

(2) 데이터 GIF 메이커

https://datagifmaker.withgoogle.com/ 

  • 득표율, 지지율 등 선거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간편 제작

(3) NotebookLM
https://notebooklm.google/ 

  • 취재자료 업로드 후 AI로 요약/분석/콘텐츠 생성 가능 
  • 심층 취재와 팟캐스트 콘텐츠 제작 지원

5. 선거기간 수익화 전략


  • 라이브 미드롤(중간) 광고 최적화
    • 시청지속시간이 증가할수록 수익화 기회 확대
    • 라이브 중 즉시 광고 삽입 가능
    • TV처럼 자연스럽게 삽입되는 DAI(Dynamic Ad Insertion) 방식 활용
  • 미드롤 광고 성과 사례
    • 미드롤 광고 개수 확대 시 수익 131% 증가
    • 광고 게재 설정을 자동/수동을 적절히 섞는 ‘균형’으로 변경 시 수익 48% 증가
  • 추가 수익화 기능
    • 수퍼땡스, 채널 멤버십 등을 통한 팬 기반 수익 증대 

6. 주요 유의사항


  • 썸네일 A/B 테스트 기능 적극적 활용 요청
  • 옐로아이콘(광고 제한 표시) 어필 절차 개선
  • 3분 쇼츠 제작 가능 (기존 쇼츠와 동일 수익화)
  • 저작권 문제 일부 개선 :대체 음원 자동 추천 기능
  • 저작권 관리 주의사항
    • 방송3사 출구조사 발표시간별 사용 가능 여부 확인
    • 외부 언론 콘텐츠 인용 시 반드시 사전 허가
    • 외부 게스트 자료 사용 시 저작권 해결 여부 확인

최종 요약


‘멀티포맷 + 참여형 콘텐츠 전략’을 중심으로 AI 편집/데이터 도구 활용으로 효율을 강화하고,

수익화 최적화, 정책 준수 및 저작권 관리에 특별히 유의해야 합니다.